치유포커스
치유포커스 공간입니다.
창과 방패는 짝궁이더라 2
덕유산 자락에 귀한 잣송이가 익어가네요. 잣씨는 소나무류 중에서 가장 크고 영양가도 높아요. 그러나 솔씨는 조그만 씨앗에 날개를 달고 있어요. 바람을 타고 여행한다는 걸 알 수 있겠네요. 그럼 잣씨는 어떻게 새로운 여행을 할까요? 잣이 익어가는 계절, 청설모는 무척이나 행복하겠지요. 덕유학생교육원에서 중학생들과 함께 청설모가 잣 따는 걸 보았어요. 아이들이 어찌나 좋아하던지 덩달아 신이 났어요.
15년 전쯤 가평의 유명산휴양림에서 잣나무와 청설모를 관찰할 기회가 있었어요. 청설모는 손처럼 쓰는 앞발로 잣송이를 잡고 이빨로 비늘 껍질을 순식간에 벗겨요. 이제 다른 친구들의 눈길을 피해 멀찍한 나뭇가지에 걸터앉아 잣알을 남김없이 빼먹을 거예요. 이때 청설모가 떨군 잣알은 이듬해 봄 싹이 트겠지요. 실제로 덕유교육원 숲길 가에는 잣나무 새싹이 많이 돋아나 있어요.
청설모 이빨은 어찌나 튼튼하고 정교한지 한 번 깨물면 순식간에 봉선을 따라 두 조각으로 갈라져요. 설치류의 이빨은 6천만 년 전부터 진화했다고 해요. 견과류는 지방·단백질이 풍부해 포기할 수 없는 고열량 식량이잖아요. 그러니 설치류와 견과류의 인연은 무척이나 질기겠지요? 잣과 청설모는 아주 오래된 짝궁이래요. 도토리와 다람쥐처럼요.
야생의 생명은 목숨을 건 창과 방패의 경쟁 속에서도 공진화를 이루었어요. 온갖 동물에게 퍼주면서 공진화를 이끌어 가는 식물은 어떤 존재인가요? 소나무 집안에서도 유별난 잣나무는 또 얼마나 독창적으로 퍼주고 있는가요?
로그인하시면 댓글 작성 가능합니다. 로그인
Guest (행간격 조절: Enter, Shift + Enter)